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우리에게 필수품인 물, 어디에서 왔을까?

기사승인 2022.11.14  21:03:38

공유
default_news_ad1

- 먹는 샘물 수질에 대한 정보 불투명성, 그리고 미미한 처벌

▲ 출처: 이지숙 국원

 인간이 살아가는 데에 가장 필수적인 물. 물을 정수기에서 떠먹기도 하지만, 사 먹기도 한다. 편의점, 마트, 인터넷 등 우리는 어디에서나 접할 수 있다. 목이 마르면 가까운 곳에 들러, 쉽게 생수를 꺼내 계산한다. 그러나 물을 살 때, 이것이 ‘어디에서’, ‘어떻게’ 유통되는지 관심을 가져본 적이 있는가?

 최근, 먹는 샘물 수질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여기서 먹는 샘물은 업체명이 아닌, 깨끗한 샘물을 먹기에 적합하도록 처리해 만든 물을 지칭하는 용어를 가리킨다.) 사실 이 문제는 과거 2000년의 기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000년 8월에 올라온 한국경제 신문에 따르면, 설악산수 에이치투오식스 등의 일부 먹는 샘물이 수질 기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환경부가 이 업체에 행정처분과 함께 먹는 샘물을 폐기했다. (출처: 한국경제_양준영 기자) 이로 미루어보아, 이 먹는 샘물의 수질 문제는 과거에서부터 꾸준히 지속되어왔다.

 이는 지금도 화젯거리인데, 특히 먹는 샘물의 정보의 투명성이 큰 화두로 올랐다.

 먹는 샘물의 수질 및 표시기준 위반에 대한 공표내용이 부실하다는 점이다. 환경부는 홈페이지에 ‘먹는 물 영업자 위반현황’을 게재했으나, 제조업체만 공개했을 뿐, 제품에 대한 유통과정은 공개하고 있지 않다.

 제조업체가 같더라도 먹는 샘물의 상표만 다르게 붙여 판매하는 경우도 많다. 소비자는 대게 먹는샘물의 상표명을 보고 구매하는데, 이로 인해 어떤 제품이 적발되었는지조차 파악하기 매우 어렵다.

 이에 더해 최근 ‘무라벨’로 생수를 판매하고 있어, 먹는 샘물에 대한 정보 파악이 더 어려워졌다. 무라벨이란, 소비자들의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재활용의 편리와 효율을 높이기 위해 비닐 라벨 제거한 것을 말한다. 물론 라벨이 사라져 앞서 언급한 환경 측면의 이점도 있지만, 이로 인해 소비자는 먹는 샘물이 어디에서 왔고, 어떻게 유통되는지 등 먹는 샘물의 ‘정보’에 대해서는 더욱 불투명해진 셈이다.

 위반 업체에 대한 미미한 처벌도 문제이다. 위반 업체에 대한 처벌은 대부분 ‘경고’ 수준에 그치고 있다. 가장 엄한 처벌이 ‘벌금 및 영업정지 1개월’ 정도다. 위에서 언급했던 2000년 8월, 한국경제 신문의 뉴스에서도 수질 기준 초과인 업체에 대해 환경부의 미미한 처벌을 찾아볼 수 있다. 과망간산칼륨 소비량이 기준치보다 높았던 설악산수, 대장균이 검출된 샘이깊은물의 에이치투오식스에 대한 처벌은 각각 90만원의 과징금 처분에 불과했다. (출처: 한국경제_양준영 기자)

 이처럼, 업체는 소비자에게 먹는샘물의 수질에 대한 정보 투명성을 확보하고, 정부는 이에 대한 관리 및 처벌 시스템을 재정할 때다. 무엇보다, 소비자인 우리의 먹는샘물에 대한 정보에 관심을 두는 것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래 링크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수질 부적합 평가를 받은 먹는 샘물의 ‘행정처분 목록’이다. 먹는 샘물을 사구매하기 전, 한 번쯤 들어가 확인해보는 것은 어떨까.

 https://url.kr/yivzwk

 

 

이지숙 기자 dlwltnr14@gmail.com

<저작권자 © 배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